안곡고 영어시험 분석

2024 안곡고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1등급을 가르는 서술형 특징분석 (feat. 논술형 5번은 암기로 풀 수 없어.)

제갈서생 2025. 3. 3. 21:55

어서오시게나

배움에 뜻이 있다면, 그 끝은 내가 줄게.

 
2024년 안곡고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때 1등급을 갈랐던 문제는 뭐였을까?

 

단연코 논술형 5번 문제가 1등급을 가르는 문제였다고 말할 수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지문이 학교 수업시간에서는 어떻게 나왔고, 시험에서는 어떻게 나왔는지 오체분시 해드릴게.

 

📢 서술형 문제, 어떻게 출제되었나?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문제를 기반으로 출제된 논술형 문제 5번

 

📢  수업시간 다루었던 30번 지문 원문

30. 다음 글의 밑줄 부분 ,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 noted that, in a changing environment, it is not clear that consistency is always a virtue and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human judgment is the ability to detect change. Thus, in changing environments, it might be advantageous to combine human judgment and statistical models. Blattberg and Hoch examined this possibility by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 demand for certain products and then creating a composite forecast by averaging these judgments with the forecasts of statistical models based on past data. The logic was that statistical models deny stable conditions and therefore cannot account for the effects on demand of novel events such as actions taken by competitors or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s. Humans, however, can incorporate these novel factors in their judgments. The composite─or average of human judgments and statistical models ─proved to be more accurate than either the statistical models or the managers working alone.

출처: 2024년 3 2 모의고사 영어 30

 

 

📢  안곡고 출제 문제

[논술형 5] 다음 글의 주제문을 <보기> 주어진 단어를 사용하여 완성하시오. (, 변형 없이 모두 번씩만 사용할 ) [5.0]

 

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 noted that, in a changing environment, it is not clear that consistency is always a virtue and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human judgment is the ability to detect change. Thus, in changing environments, it might be advantageous to combine human judgment and statistical models. Blattberg and Hoch examined this possibility by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 demand for certain products and then creating a composite forecast by averaging these judgments with the forecasts of statistical models based on past data. The logic was that statistical models assume stable conditions and therefore cannot account for the effects on demand of novel events such as actions taken by competitors or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s. Humans, however, can incorporate these novel factors in their judgments. The composite - or average of human judgments and statistical models - proved to þe more accurate than either the statistical models or the managers working alone.

 

<보기>
human judgment, outperformed, alone, and, combining, either, statistical models, approach

 

This research showed tha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변경사항

 원문 (수업시간 지문) 시험 출제 지문
"statistical models deny stable conditions"
→ "
통계 모델은 안정적인 조건을 부정한다."
"statistical models assume stable conditions"
→ "
통계 모델은 안정적인 조건을 가정한다."

 

"deny" 사용한 원문:

  • 통계 모델은 세상이 항상 일정하지 않다고 가정
  • ,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모델이 유효하다고
  • 그러나, 새로운 요인(경쟁자의 전략, 신제품 출시 ) 반영하는 한계가 있음

"assume" 변경된 시험 지문:

  • 통계 모델은 세상이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
  • , 안정적인 환경에서만 효과적이며,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적절하지 않음.
  • 변화하는 요소(: 경쟁자의 전략, 신제품 출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됨.

🔍 "deny" 유지하면 주제문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시험 문제의 주제문은 **"통계 모델과 인간의 판단을 결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라는 결론을 도출해야 해
하지만 "deny" 그대로 유지하면 통계 모델이 변화까지 반영할 있다는 의미가 되므로, 결론이 달라져.

 

기존 정답 (assume 기준):
This research showed that combining human judgment and statistical models outperformed either approach alone.(→ 통계 모델이 안정적인 조건만을 가정하기 때문에, 인간의 판단과 결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수정된 주제문 (deny 기준):
This research showed that human judgment enhances statistical models in adapting to novel changes.
(→
인간의 판단이 통계 모델이 놓치는 변화 요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 기존 정답과 달라지는 :
"assume" 통계 모델이 안정적인 조건만을 가정하므로 인간의 개입이 필수적.
"deny" 통계 모델이 변화를 반영할 있지만, 인간의 개입이 이를 더욱 향상시킨다 논리로 수정됨.


 

📌 결론: 안곡고 2학년 영어 서술형, 이렇게 대비하라!

시험 공부할 때 본문을 암기한 것으로 풀면 틀린다!

  • 본문을 기계적으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 흐름을 이해해야 한다.

지문의 소재와 속성을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 단순한 단어 의미가 아니라, 문장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재와 속성에 관한 정리를 빠르게 하고 내용 정리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 시험장에서 긴 지문을 빠르게 분석하고 핵심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연습이 필수적이다.

서술형 답을 만드는 능력 = 품사 싸움 / 자리 싸움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논리적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능력, 즉 문장에서 각 품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 결론:
안곡고 2학년 영어 서술형 문제는 문장의 논리적 구조를 이해하고, 단어 하나의 의미 차이를 명확히 분석하는 능력을 평가한해. 따라서, 단순 암기가 아닌 문맥 속에서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사고하는 연습이 필수적이야!

 

배움에 뜻이 있다면, 그 끝은 내가 줄게. 🚀

 

참고로 서술형 문제를 분석한 무료 분석집 PDF 파일을 공유드리고 있어

자세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

https://jegalseoseng.tistory.com/12

 

안곡고등학교 영어 서술형 문제, 뭐가 어려운 것일까?(feat. 안곡고 서술형 완벽 분석집 무료 pdf

어서오시게나배움에 뜻이 있다면, 그 끝은 내가 줄게. 안곡고 영어 내신에서 서술형 점수가 정말 중요하다는 걸 알지?  근데 매번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아.  왜냐하면 단순히 문장을 적

jegalseose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