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학생부 종합전형 vs 학생부 교과전형: 어떤 전형이 유리할까?

제갈서생 2025. 2. 9. 22:06

 

어서오게나 유생들.
 
입시를 준비하고 있다면 고민될 거야.
 
"내가 학종(학생부 종합전형)으로 가야 할까, 아니면 교과전형(학생부 교과전형)이 나을까?"
 
입시를 제대로 준비하려면 이걸 먼저 확실히 알아야 해.
 
오늘은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입시요강을 기반으로 두 전형을 자세히 분석하고, 실제 사례를 들어 어떤 학생에게 유리한지 콕 집어 설명할게.
 
서울대 2025학년도 입시요강은 아래에서 다운 받을 수 있어

2025_서울대학교 입시요강_수시.pdf
1.69MB
2025학년도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수시모집 요강(대입전형기본계획 반영).pdf
1.91MB
2025학년도_연세대(수시)_모집요강.pdf
2.36MB

 
 
 
 

  수시와 정시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다면, 일단 지난 번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해. 입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해야 지금 이 포스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까 말이야.

https://jegalseoseng.tistory.com/9

입시가 처음인 너를 위한 대학입시 길라잡이(대학 입학하는 방법

배움에 뜻이 있다면, 그 끝은 내가 주겠네.어서오게나 유생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학입시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해. 최소한 이것 정도만 알아도 자네가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지 그림을

jegalseoseng.tistory.com

 

 

지난 번 포스팅을 이미 봤다고? 그럼 바로 시작할게!

 

1. 학생부 종합전형 vs 학생부 교과전형 핵심 비교

구분학생부 종합전형 (학종)학생부 교과전형 (교과)

평가 요소내신 + 비교과 활동(동아리, 봉사, 세특 등) + 자기소개서 + 면접내신 성적 100% + 수능 최저 or 면접
누가 유리한가?내신 성적이 완벽하진 않아도 비교과 활동이 강한 학생내신 등급이 1~2등급으로 안정적인 학생
상위권 대학에서 선호하는 전형수시 지원의 대부분은 종합전형일부만 교과전형을 실시
준비 방법학업 + 비교과 활동 + 세특 + 자소서철저한 내신 관리

이것은 지난 번에 설명했던 내용을 좀 더 도식화한 것이야. 
 
눈에 띄는 것은 상위권 대학은 대부분 선발을 학종으로 한다는 점이지.
 
교과전형은 별로 없다고 보면 돼.

 

이유가 뭘까?

 

서울에 있는 공부 잘하는 고등학교의 학생들 사이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 vs 지방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물론 지방을 비하하는 것이 아니야. 하지만 실제 여기에 차이가 있어서 그런 것이지...)

 

이 둘을 비교했을 때 누가 더 좋은 학업역량을 가진 것 같아?

 

말하지 않아도 알겠지?

 

서울대는 좋은 학업역량을 가진 학생을 뽑고 싶어해.

 

그래서 이런 점들을 입시에 반영하지.

 

그렇다면 지방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내신 전부 1등급을 받은 학생이 유리한 것 아닌가?

(지금이라도 지방에 내려가서 모든 성적 1등급을 받아낼까....?)
 

결론만 말해서... 아니야.

 

학생부교과전형이라고 해서 그냥 내신 성적만 반영되는 것은 아니거든.

 

그렇다면 뭐가 추가로 반영되냐고?

 

그것은 두 번째 실제 사례들 분석에서 자세히 다뤄드릴게.
 
 
 

2. 실제 사례 분석

서울대는 학생부 종합전형(지역균형전형 & 일반전형)으로 많은 학생을 선발하는데, 단순히 내신만 보지 않아.
 
학교 환경 속에서 성장한 과정과 학업 태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지.
 
다음 두 사례를 보면 어떤 전형이 유리한지 감이 올 거야.
 
 

사례 1: A 학생 (학종이 유리한 경우)

📌 기본 정보

  • 내신: 1학년 3.2등급 → 2학년 2.8등급 → 3학년 2.5등급
  • 비교과: 과학동아리 회장, 과학 연구 프로젝트 참여, 논문 작성, 봉사 50시간
  • 자기소개서: 과학 기술을 활용한 봉사활동 경험 작성
  • 목표 대학: 서울대 생명과학부

 
📌 분석
A 학생은 내신 성적이 조금 부족하지만, 과학 분야에서 비교과 활동을 지속적으로 해왔고, 연구 프로젝트도 진행했어. 이게 서울대 학종 평가에서 강점이 될 수 있어.
서울대 입시요강을 보면 서류평가에서 단순히 성적만 보는 것이 아니라, 지원자의 학업 태도와 성장 과정도 평가한다고 명시되어 있어.
서울대 입시요강에서 강조하는 학종 평가 기준:

  • 학업능력: 단순한 내신 등급이 아니라, 과목별 학업 성취 과정과 성장 정도를 본다.
  •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연구 프로젝트 참여, 수업 중 질문 활동 등이 긍정적 평가 요소.
  • 전공 적합성: 생명과학 관련 활동을 꾸준히 한 점이 강점으로 작용.

결론: A 학생은 학종을 준비하는 것이 유리하고, 학생부 종합 지원이 가능함.


사례 2: B 학생 (교과전형이 유리한 경우)

📌 기본 정보

  • 내신: 1학년 1.2등급 → 2학년 1.1등급 → 3학년 1.2등급
  • 비교과: 특별한 활동 없음, 동아리 활동 참여만 함
  • 자기소개서: 작성하지 않음
  • 목표 대학: 인서울 경영대학

 
📌 분석
B 학생은 내신이 매우 우수하지만, 비교과 활동이 부족해. 서울대 일반전형(학생부 종합)에서는 비교과 활동도 중요한 평가 요소이므로 불리할 수 있어. 하지만 학생부 교과전형(지역균형전형)은 내신 성적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교과전형을 노리는 게 유리해.
입시요강에서 교과전형의 평가 요소:

  • 전형 요소: 1단계 서류평가 100%
  • 수능 최저학력 기준: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중 3개 합 7등급 이내
  • 지원 가능 조건: 학교장 추천을 받은 학생

보면 알겠지만 교과전형이라고 해서 내신 성적만! 보는 것은 아니야.
 
수능 최저라는 기본 사항이 있고, 학교장의 추천도 받아야 하지.
 
학교장 추천은 학교들마다 쿼터가 정해져있어.
 
인서울 상위권 대학의 경우 고3 혹은 재수생만 추천을 받을 수 있도록 제한을 두었고, 학교당 추천할 수 있는 학생 수도 제한이 되어 있지.
 
결론적으로 학교에서의 생활 전반이 준비가 되고 학교장 추천을 받았을 때 지원할 수 있다는 말이지.
 
그리고 수능최저만 맞춘다면 가장 쉽게 대학에 가는 전형이야.
 
참고로 서울대는 교과전형으로는 학생들을 뽑지 않아. 그러니 고려대와 연세대만 교과전형을 볼 수 있는데 중요 포인트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줄게

📌 고려대학교 학생부교과전형 준비 포인트:

  •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중심으로 평가해
  •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필수고, 인문·자연계열 모두 국어, 수학, 영어, 탐구(2과목 평균) 중 3개 영역 등급의 합이 7 이내여야 해.
  • 특히 한국사는 4등급 이내로 관리해야 해.
  • 면접이 없기 때문에 내신 성적 관리와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이 가장 중요해.

📌 연세대학교 학생부교과전형(추천형) 준비 포인트:

  • **교과 성적 100%**로 평가되며, 면접은 없어.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며,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불합격 처리돼.
  • 동점자 발생 시에는 서류평가점수와 교과점수 순으로 선발해.
  • 학교장 추천이 필수이며, 원서접수 전 소속 고등학교와 사전 협의가 반드시 필요해.

🎯 따라서 두 학교 모두 학생들이 최우선적으로 준비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내신 교과성적 관리: 교과 성적 비중이 절대적이므로, 특히 주요 교과 과목(국어, 수학, 영어,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철저한 학습 계획과 관리가 필요해.
  2.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영역별 등급을 철저히 관리하여 목표 대학의 최저학력기준을 확실히 맞출 수 있도록 계획적인 수능 준비가 중요해.
  3. 학교장 추천 및 서류 제출 준비(연세대): 학교장 추천이 필수인 연세대의 경우, 지원 전 미리 학교와의 충분한 협의와 서류 준비가 필요해.

이 세 가지 포인트에 집중하여 준비하면 교과전형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거야
 
 
 
결론: B 학생은 교과전형(지역균형전형)이 유리하며, 서울대 지역균형 선발을 목표로 해야 함.
 
교과전형에서 내신의 컷이 궁금할거야.
 
이것은 대학마다 과마다 다르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정리한 것을 퍼울게 참고하면 좋아.
 
교과전형은 각 학교마다 산출하는 방정식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넣어봐야 알 수 있어.
 
다만 정성평가적인 요소가 없이 기계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커트라인이 심하게 바뀌는 일은 없을거야.
 
보통 1~2등급 대라고 생각하면 편해.
 
교과전형에서 가장 낮은 것은 연세대에서 2.33 사회복지학과가 제일 낮았어.
 
보통 평균 1.5등급 내외라고 보면 되고.
 
이정도면 모든 과목의 50%는 1등급, 50%는 2등급이라고 보면 되지.
 
앞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감이 잡힐까?
 
 
 

출처: https://cafe.naver.com/sudajong/1827


3.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는 방법

서울대 입시요강에 따르면, 학종 평가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 성적이 아니라, 학생이 어떻게 성장했는지를 보는 것이야. 그렇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1)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활용하기

서울대는 서류 평가에서 학생의 학업 태도와 지적 호기심을 중요하게 평가한다고 명시하고 있어.
TIP: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프로젝트나 연구 활동에 참여하면 세특 기록이 좋아진다!

(2) 비교과 활동을 학업과 연결하기

서울대는 단순한 활동 나열이 아니라, 활동과 학업을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해.
예시: A 학생처럼 과학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관련 논문이나 연구 발표를 하면 강점이 될 수 있어.

(3) 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하기

서울대 입시요강을 보면, 면접에서는 전공적합성과 학업 태도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고 나와 있어.
TIP: 자기소개서에서 ‘활동 → 배운 점 → 진로 연결’ 이 3단계를 꼭 반영하라!
 
여기서 자세히 다루면 내용이 너무 많아지니까 일단 전반적인 내용만 정리해드렸어.
 
나중에 실제 자소서와 세특관리를 어떻게 하면 유리한 것인지 자세히 다뤄드릴게.
 
 


4. 결론: 자네에게 맞는 전형을 찾아라!

내신이 매우 우수하고 비교과 활동이 부족하다면? 학생부 교과전형을 노려라.
내신이 다소 부족하지만 비교과 활동이 탄탄하다면? 학생부 종합전형을 준비하라.
내신이 낮더라도 성장 과정과 적극적인 활동이 있다면? 학종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다.
서울대 입시요강을 보면 알겠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은 단순 성적이 아니라 ‘성장 과정’과 ‘전공 적합성’이 중요해.
그러니까 내신만 보고 쉽게 포기하지 말고, 자네의 강점을 찾고 그에 맞는 전략을 짜야 한다네! 🚀
 
 
정시/수시 입시요강은 각 대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받을 수 있어.
 
하지만 그것이 귀찮다면 비밀댓글로 이메일주소를 남겨줘. 내가 보내드릴게.
 
혹은 카톡이나 인스타DM을 줘도 돼
ig: @jegalseoseng
오픈카톡: https://open.kakao.com/o/s6hZg9ch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이나 오픈 카톡에 남겨줘.
 
내가 바로 바로 대답은 못해도 24시간 내로는 반드시 답을 드릴게.
 
2028 대학입시 관련 강연과 컨설팅도 해드리고 있으니까 말이야
입시강연 문의: thiatt@naver.com

(희망 장소, 예상 참석인원, 예상 일정, 특별히 요청하고 싶은 사항 포함해서 메일 문의를 주면 스케쥴 조절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부끄러움이 많아서 온라인에서는 모자이크를....ㅎㅎ

 
 
배움에 뜻이 있다면, 그 끝은 내가 주겠네.
 
무한한 건승을 바라며....
 
제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