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학생부 종합전형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제갈서생 2025. 2. 23. 21:07

어서오게나 유생들.

 

배움에 뜻이 있다면, 끝은 내가 줄게.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

 

그. 전. 에.

 

↓ ↓ ↓  수시와 정시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다면, 일단 지난 번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해. 입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해야 지금 이 포스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까 말이야. ↓ ↓ ↓ ↓

https://jegalseoseng.tistory.com/9

 

입시가 처음인 너를 위한 대학입시 길라잡이(대학 입학하는 방법

배움에 뜻이 있다면, 그 끝은 내가 주겠네.어서오게나 유생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학입시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해. 최소한 이것 정도만 알아도 자네가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지 그림을

jegalseoseng.tistory.com

 

 

서울에 있는 상위권 대학을 기준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한다면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 지 정리해드릴게.

 

직접 보고 싶다면 작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수시전형 모집요강을 첨부할테니 다운 받아서 볼 수 있어

 

2025_서울대학교 입시요강_수시.pdf
1.69MB
2025학년도_연세대(수시)_모집요강.pdf
2.36MB
2025학년도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수시모집 요강(대입전형기본계획 반영).pdf
1.91MB

 

 

 

 

기본적인 것들은 다 알고 있다고 전제를 하고 바로 시작할게

 

📍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준비 포인트

  • 전형 유형: 일반전형, 지역균형전형(학교장 추천 필수), 기회균형특별전형
  • 평가 요소: 학생부(교과 및 비교과 활동), 자기소개서, 면접 및 구술고사
  • 핵심 준비 사항:
    1. 비교과 활동 준비: 지원 전공 관련 활동의 깊이 있는 참여와 진로 연계성을 강조
    2. 면접 및 구술고사 대비: 전공 관련 심층 지식 및 통합적 사고력 필요
    3. 자기소개서 작성: 학업 역량, 전공 적합성, 인성 등이 잘 드러나도록 준비​

📍 고려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준비 포인트

  • 전형 유형: 학업우수전형, 계열적합전형, 고른기회전형, 사이버국방전형
  • 평가 요소: 서류평가(학생부 중심), 면접 평가(일부 전형)
  • 핵심 준비 사항:
    1. 학업 역량 증빙: 주요 과목에서 높은 성적 유지 및 심화된 학습 내용 강조
    2. 전공 적합성 강조: 관련 교과 및 비교과 활동(탐구 활동, 동아리 등)의 일관성 확보
    3. 면접 대비(계열적합, 고른기회 전형 등): 지원 전공의 전문성 및 문제 해결 능력 준비​

📍 연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준비 포인트

  • 전형 유형: 활동우수형, 국제형, 기회균형형
  • 평가 요소: 학생부 중심 서류평가, 면접 평가(활동우수형 등 일부 전형)
  • 핵심 준비 사항:
    1. 다양하고 우수한 비교과 활동: 특히 지원 전공과 연계된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기록
    2.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자기소개서에서 구체적인 사례로 증명할 수 있도록 기록
    3. 면접 대비(활동우수형 등): 학생부 기록 기반의 심층적 자기 분석 및 전공 적합성 논리적 설명 준비​

 

 

 

📌 세 학교 공통 준비 전략

  • 명확한 진로 목표 설정과 전공 관련 활동의 지속성 강조
  • 학생부 기록 관리: 교과 성적뿐만 아니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독서활동 등 비교과 영역의 꼼꼼한 관리 필수
  • 면접 대비: 심층적인 질문에 대비하여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답변 준비

 

지난 번 포스팅에서도 말했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은 "내신" + "정성평가"야

 

기본적으로 내신 성적이 어느 정도는 뒷받침이 되어야해.

 

이것은 너무나 당연한 말이야

 

"이 불은 뜨겁지만 온도는 높지 않아요."

 

이런 말은 듣자마자 말도 안되는 헛소리라는 것을 바로 느낄 수 있잖아.

 

마찬가지야.

 

"나는 정말 좋은 인재인데, 다만 성적만 나빠요!"

이렇게 말한다면 누가 믿어줄까?

 

절대 믿을 수 없을거야.

 

기본적으로 인서울 상위권 대학 혹은 그냥 인서울 대학을 간다고 생각한다면, 내신 성적은 받쳐줘야 해

 

어느 정도를 준비해야 하는 것일까?

 

지난 번 포스팅에서 교과전형의 경우 1.5등급은 준비되어야 한다고 했잖아.

 

종합전형은 조금 괜찮은 편이야. 2.16등급 정도면 지원할 때 가능성이 있어.

 

최근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들의 내신 평균 등급이 상승하는 추세야. 2023학년도 기준, 이들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 상위 70%의 평균 내신 등급은 2.28등급으로, 전년도 2.30등급에서 소폭 상승했지.

 

계열별로 살펴보면, 인문계열은 2.38등급, 자연계열은 2.18등급으로 나타났어. 특히, 의과대학의 경우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의 평균 내신 등급이 1.43등급으로, 전년도 1.48등급에서 상승했어.

 

 

 

 

이러한 추세는 비교과 영역의 축소로 인해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 내신 성적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을 시사해.

 

따라서, 해당 대학들의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우수한 내신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

 

출처: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08983&utm_source=chatgpt.com

 

[단독] 2024 SKY 학종 내신 합격선 상승 ‘70%컷 2.16등급’.. ‘손발 잘린 학종의 정량화 심화’

[베리타스알파=조혜연 기자] 지난해 입시에서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학종 내신 합격선이 일제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종은 교과전형처럼 교과 등급을 정량평가하지 않았고 제출서

www.veritas-a.com

 

그렇다면 이런 질문이 생길거야.

 

나는 성적인 2.28등급이 나왔어요.

 

그러면 SKY 합격할 수 있는 것인가요?

 

햐...

 

올림픽 국가대표가 되었다고 해서 금메달을 타는 것은 아니잖아?

 

내신이라는 것은 올림픽 대회에 비유를 하자면, 출전권에 불과해.

 

진짜 싸움은 그 다음이지.

 

3개의 공통점이 뭔지 알아?

 

바로 '면접'이 있다는 것이야.

 

면접에서 중시보는 것을 6가지 정리해 드릴게.

 

일단 정리만 하는 것이야. 여기에서 분명 유생들에게 해당하지 않고 극복할 수 없는 부분들이 있을거야.

 

중심부터 잡고 그 다음의 것들을 정리해 보자구

 

📌 1. 명확한 진로 목표 설정

  • 지원하는 학과나 전공을 선택한 이유가 분명히 드러나도록 준비해야 해.
  • 진로 목표가 학생부 활동, 자기소개서, 면접에서 일관되게 나타나야지.

 

📌 2. 전공적합성 관련 비교과 활동

  • 전공과 관련된 탐구활동, 동아리활동, 독서활동, 프로젝트 참여 등 '자기주도적 활동'을 준비해야해.
  • 단순히 참여가 아닌, 활동의 심화도와 발전 과정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해.

📌 3. 자기소개서 전략적 작성

  • 본인의 학업 역량, 전공 관심도, 발전 가능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해야 해
  • 단순 나열이 아닌, 활동을 통해 본인이 무엇을 배우고 성장했는지 명확하게 나타내야해.

📌 4. 면접 및 구술고사 대비

  • 전공 관련 심층 질문에 대비하여 평소 교과서뿐 아니라 심화 학습 자료나 논문 등을 접하며 준비해.
  • 문제해결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본인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키워야 해.

📌 5. 독서활동의 질적 관리

  • 본인의 진로 목표와 관련된 양질의 독서활동을 가져.
  • 독서를 통해 형성한 생각과 이를 확장한 경험 등을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적극 활용해야지.

📌 6. 학생부 기록의 꼼꼼한 관리

  •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 학생의 특성을 드러내는 항목을 교사와 긴밀히 소통하며 충실하게 기록되도록 해야 해.

 

결론적으로 이 모든 것이 정성평가에서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인데, 학생부 기록에 주의를 해!

 

혹시 들어 보았을지도 모르겠어.

 

세특관리라고.

 

다시 말하지만 학생부종합전형은 '내신 성적 만!' 보지 않아.

 

'정성평가'를 한다는 말이야.

 

그리고 이 정성평가는 유생이 작성한 생활기록부 + 면접에서 드러나.

 

그런데 이 부분까지 포스팅에서 쓰면 글이 너무 길어지니까... 세특관리에 관해서는 다른 포스팅에서 더 깊게 자세히 다뤄드릴게.

 

유생이 가져야 할 질문은 이것이야.

 

4. 결론

📌 1. 명확한 진로 목표 설정이 없으면 종합전형에서 불리한가?

 

📌 2. 비교과 활동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 3. 내신성적 준비하기도 바쁜데 독서활동도 해야 하는가?

 

📌 4. 학생부 관리라는 것은 언제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

 

이 4가지 중심만 가져가면 좋을 것 같아.

 

각각 굵직굵직한 이야기니까.

 

개별적으로 포스팅을 해서 정리해 드릴게.

 

입시에 대해서 너무 이해하기 힘들다면 카톡이나 인스타DM을 줘도 돼

ig: @jegalseoseng

오픈카톡: https://open.kakao.com/o/s6hZg9ch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이나 오픈 카톡에 남겨줘.

 

내가 바로 바로 대답은 못해도 24시간 내로는 반드시 답을 드릴게.

 

2028 대학입시 관련 강연과 컨설팅도 해드리고 있으니까 말이야

입시강연 문의: thiatt@naver.com

(희망 장소, 예상 참석인원, 예상 일정, 특별히 요청하고 싶은 사항 포함해서 메일 문의를 주면 스케쥴 조절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배움에 뜻이 있다면, 그 끝은 내가 줄게.

 

무한한 건승을 바라며....

 

제갈-!

 

p.s.

   입시에 대한 정보는 알고 있고 학생부종합전형 vs 교과전형만 비교하고 싶다면 ??   

https://jegalseoseng.tistory.com/10

 

학생부 종합전형 vs 학생부 교과전형: 어떤 전형이 유리할까?

어서오게나 유생들. 입시를 준비하고 있다면 고민될 거야. "내가 학종(학생부 종합전형)으로 가야 할까, 아니면 교과전형(학생부 교과전형)이 나을까?"  입시를 제대로 준비하려면 이걸 먼저

jegalseoseng.tistory.com